역사의 간지

Post-Bruce Cumings 본문

발제/후기

Post-Bruce Cumings

양웬리- 2014. 6. 7. 16:15

<한국전쟁의 기원>이 이제 거의 끝나가는데요.

제가 뭔가 관점이 없다보니까, 커밍스를 읽으면서 내재적 비판을 하기가 무척 어렵네요.


앞으로 이 책을 출발점으로 하여 어떤 공부들을 할 지 나름대로 생각한 것들을 적어봅니다. 안 적으면 까먹을 것 같아서..


(북한사는 우선 제외할게요)


커밍스의 책은 우선, 외교사 + 중앙/지방 정치사 + 사회사가 결합된 책으로 생각되기에, 이 세 파트에 대한 공부를 모두 해야 할 것 같습니다. 


1. 미국의 동아시아 통합전략 : 일본-대만-한국 정책을 중심으로


-  냉전 초기 미국의 통합전략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었는지 따지는 연구가 있는 지 살펴보고 싶네요. 커밍스의 서술이 다소 분절적이라, 좀 더 정리된 글이 있나 궁금합니다. 미국 쪽 연구자료를 찾아보도록 하지요. 


Herbert Bix, "지역통합전략"이라는 글을 봐야 할 듯.


- 또 1차 자료로는 <중국 백서>를 한 번 읽어보고 싶어졌어요.


2. 유엔한국위원단고 주한미군사고문단 연구


- 미국의 외교전략과 관련하여 이들이 실제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, 궁금. (석사와 박사학위 논문이 있으니 참고해 볼게요)


3. 스탈린의 롤백? 미국의 롤백?


- 김영호의 논문과 단행본이 참고됨.


4. 1950년 5월 30일 선거 연구 


-  김일영의 논문이 참고됨. 또 개인적으로는 


5. 소련 외교문서를 기초로 한 당대의 외교사 연구


- <한국전쟁의 진실과 수수께끼><흔들리는 동맹>과 같은 단행본을 읽어보고 싶어짐.


6. 북한의 한국전쟁 연구 현황


- 북한은 어떻게 한국전쟁사를 기술하고 있는 지 궁금합니다. 


.....



제가 하기는 어렵지만, 해보고 싶은 주제들.


1. 마을사, 구술사에 기초한 한국전쟁사의 성취 그리고 한계점. 앞으로의 돌파구는?


2. 10월 인민항쟁에 대한 새로운 시각? 


- 여순사건에 대한 김득중의 연구가 기존의 여순사건 연구사를 어떻게 넘어서고 있는지를 살피면, 비슷한 연구방법이 가능하지 않을런지?


3. 38선 충돌..


- 솔직히 정치외교학과 이름달고 정병준 씨 뛰어넘기는 쉽지 않아보임.. 끝판왕..


 





'발제/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커밍스 세미나 발제문들  (0) 2014.06.30
[발제] 커밍스 17장 "Quiet Weekend"  (0) 2014.06.26
커밍스 15장 발제문_김정민  (0) 2014.06.07
[발제] 커밍스 12장 'Decent Interval'  (0) 2014.05.22
발제_Benno Teschke  (0) 2013.10.04